티스토리 뷰
목차
혼자 병원 가기 어려운 분들을 위해 탄생한
‘병원 동행 서비스’가 2025년 기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.
서울뿐 아니라 경기, 인천, 부산, 대전, 울산 등
여러 지자체가 다양한 조건과 비용으로 운영 중인데요.
오늘은 신청 방법, 이용 요금, 운영 지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특히, 일부 지역은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니
미리 확인하고 신청하면 생활이 훨씬 편해집니다.
📌 병원 동행 서비스란?
병원 동행 서비스는 병원 이동, 접수, 진료 동행, 약 수령,
귀가까지 전 과정을 도와주는 돌봄형 서비스입니다.
주로 1인 가구, 고령자, 장애인, 거동이 불편한 분들이 많이 이용하며,
일부 지역에서는 취약계층 대상 무료 운영도 하고 있습니다.
📅 지역별 운영 현황 및 신청 방법
지역 | 운영 여부 | 신청 방법/링크 | 온라인 신청 | 이용 비용 |
---|---|---|---|---|
서울시 | 운영 중 | 서울 1인가구 포털 / ☎ 1533-1179 | O | 시간당 5,000원 (중위소득 100% 이하 연 48회 무료) |
경기도 | 일부 운영 | 경기민원24 / 가족센터 전화 | O | 3시간 5,000원, 일부 무료 |
인천시 | 운영 중 | 인천시 1인가구 포털 | O | 만 65세 이상 취약계층 무료 |
부산시 | 운영 중 |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| X | 1시간 15,000원 (차상위계층 2,000원) |
대전시 | 운영 중 | 가족센터 방문/전화, 병원 연계 | X | 병원별 상이 (예: 대전성모병원 무료) |
대구시 | 운영 중 | 나드리콜 / ☎ 1577-6776 | △ | 기본 2시간 2만원 (수급자 할인) |
울산시 | 운영 중 | 전화 신청 (예: 아프지마요 돌봄센터) | X | 무료~건당 10,000원 (아동·취약계층 무료) |
광주시 | 제한 운영 | 꿈나무사회복지관 / 일부 행정복지센터 | O | 아동 1,000원, 기타 무료/실비 |
✅ 신청 절차
- 거주 지역의 병원 동행 서비스 운영 여부 확인
- 해당 신청 페이지 또는 전화로 예약
- 필요 시 취약계층·저소득층 증빙서류 제출
- 이용일 지정 후 매니저 배정
- 병원 진료 후 비용 정산
📄 필요 서류
- 신분증
- 취약계층 증빙서류(해당 시)
- 예약 확인증
💡 이용 팁
- 서울시는 당일 신청도 일부 가능하지만, 최소 하루 전 예약을 권장합니다.
- 대부분의 지역이 ‘왕복 동행’ 기준이므로, 중간에 매니저가 다른 업무를 보는 경우는 드뭅니다.
- 장기 치료를 받는 경우, 정기 예약을 통해 매번 같은 매니저를 배정받을 수도 있습니다.
📌 결론
병원 동행 서비스는 고령자·1인가구·거동 불편자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입니다. 특히 무료 또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 많아, 신청만 잘하면 진료 스트레스와 이동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